정견모주와 이비가지 사이에서 대가야왕 이진아시왕과 수로왕을 낳았다
- 월광태자는 정견모주의 10세손며, 이뇌왕의 아들이다
금관가야 | 42년 - 562년 (520년)
재위기간 순서 | 왕호| 휘
42- 199년 (158년) | 1대 수로왕 |
-
199-253년 (55년) | 2대 거등왕 |
-
253-291년 (39년) | 3대 마품왕 |
-
291-346년 (56년) | 4대 거치미왕 |
-
346-407년 (61년) | 5대 이시품왕 |
-
407-421년 (15년) | 6대 좌지왕 |
-
421-451년 (31년) | 7대 취희왕 |
-
451-492년 (42년) | 8대 질지왕 |
-
492-521년 (30년) | 9대 겸지왕 |
-
521-532년 (11년) | 10대 구형왕 |
-
대가야 | 42년 - 562년 (520년)
재위기간 순서 | 왕호| 휘
42- 177년 (135년) | 1대 이진아시왕 |
- 대가야의 건국 시조
177-?년 (?년) | 2대 미상|
- 대가야의 건국 시조
년 (년) | 3-4대 금림왕 |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등장, 지산동 고분군 47호
년 (년) | 5대 기본한기왕 |
- 일본서기에 등장
479-494년 (15년) | 6-7대 가실왕(하지왕) |
- '남제서' 만동남이전에 등장, 가실광과 같은 인물로 추정
494-529년 (35년) | 8대 이뇌왕 |
- '신증동국여지승람' 고령현, '일본서기'에 등장
- 이뇌왕은 신라에 구혼하여 이찬 비지배의 딸을 맞아들여 월광태자를 낳았다.
529-562년 (33년) | 9대 도설지왕 | 월광태자
- 대가야의 마지막 왕
- 도설지왕과 월광태자는 동일인 이다.
- 월광태자는 대가야와 신라 사이에서 태어났다(결혼동맹), 결혼동맹은 '변복사건'으로 깨졌다.
이 시기에 백제가 임실,낙원,하동까지 밀어닦치자
결혼동맹 7년뒤 신라가 결혼동맹을 파기한다. '변복사건' 신라가 결혼식때 여자종 100명을 보내며 신라의관을 입게 하였는데 대가야는 그들의 옷을 가야식으로 바꿔 입혔다는 이유였다. 신라는 왕녀를 돌려주기를 요구했고, 대가야 북쪽 변경의 5성을 함락시켰다. (일본서기)
- 백제가 임실,낙원,하동까지 밀어 닦치고, 신라는 변복사건을 이유로 공격해 와서 위기에 처한 가야는 둘중 하나의 나라를 선택해야 했다. 이때 대가야의 선택은 백제였다. 반대세력의 일부는 신라에 망명했다.
대표적인 인물로 '우륵'이 악기를 들고 신라 진흥왕에 투항하였다.
월광태자도 이때 어머니의 나라인 신라에 투항하여 신라의 장군이 되었다. 그리고 다시 대가야의 왕이 되었다.
- 월광태자는 승려가 되었다.
- 단양, 신라적성비(551): 김무력(김유신아버지)과 함께 도설지가 새겨져 있다. 신라의 장군으로 가 있었다.
- 553년 관산성 전투:
551년 나제동맹으로 고구려를 물리치고, 2년후 신라는 백제를 배신하여 한강유역을 뺐는다. 백제는 신라와의 전쟁을 준비하여 반격을 하였고, 553년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성왕을 죽이고 좌평4명, 군사29,600명을 죽였다. 이 전투에서는 대가야도 백제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가랑(가야)이 관산성을 공격하기위해왔고, 가야에도 심각한 충격을 주었다. 그리고 신라가 대가야를 공격하는 빌미를 제공하여 대가야의 몰락을 가져오게 하였다.
- 562년 대가야 멸망:
무력으로 대가야를 몰락시킨후, 민심을 잡기위해 월광태자를 가야의 왕으로 보냈다. 이것이 월광태자가 도설지왕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 신라에게도 버림받고 대가야는 멸망하며, 월광태자는 승려가 된다. (월광사)
우륵